2013년 5월 24~26일 열린 김유정문학제 봄.봄입니다.
춘천마임축제랑 겹쳐서 열림으로 마임축제 온 김에 토요일 오전 짬을 내서 가 볼 수 있었습니다.
춘천시 신동면 증리(실레마을)에서 김춘식과 청송 심씨의 2남 6녀 중 차남(일곱째)으로 태어난 김유정(1908.2.12. ~ 1937.3.29.)
김유정이 남긴 30여편의 단편소설 그 감동을 잃지 않으려고 김유정문학촌이 생겼고, 이 곳은 그를 우리 문학사에 진정한 이야기꾼으로 영원히 살아 있게 해 줍니다.
장인님! 인제 저 ...
내가 이렇게 뒤통수를 긁고, 나이가 찼으니 성례를 시켜줘야 하지 않겠느냐고 하면 대답이 늘
이 자식아! 성례구 뭐구 미처 자라야지!
하고 만다.
이 자라야 한다는 것은 내가 아니라 내 아내가 될 점순이의 키 말이다.
내가 여기와서 돈 한 푼 안받고 일하기를 삼년 하고도 꼬박 일곱달 동안 을 했다. 그런데도 미처 못자랐다니까 .. - 김유정 단편소설 <봄.봄>의 시작부분
김유정 생가는 2002년에 복원됐다고 합니다. 미음(ㅁ)자 구조로 집을 짓고 기와집 골격에 초가를 얹었습니다. 김유정의 할아버지 김익찬은 이 마을 대부분의 땅을 소유할 정도로 부자였다고 합니다.
서른 살 젊은 나이에 폐결핵으로 세상을 떠난 김유정이 보고 싶습니다.
담벼락에 생강나무가 많이 심겨져 있어서 의아했습니다.
김유정의 동백꽃은 동백꽃이 아니랍니다.
강원도 사람들은 생강나무꽃을 동백꽃 혹은 산동백으로 불러왔습니다.
정선아리랑에 나오는
"아우라지 뱃사공아 배 좀 건너주게
싸릿골 올동박이 다 떨어진다"
의 올동박이 바로 생강나무 노란꽃을 의마한다고 합니다.
가요 소양강처녀 의
"동백꽃 피고지는 계절이 오면
돌아와 주신다고 맹세하고 떠나셨죠"
여기도 동백꽃은 생강나무꽃이랍니다.
김유정은 소설에서 붉은 동백꽃과 구별이라도 하려는듯이 "노란 동백꽃"이라 표현하고 있지요.
실레마을 실레 이야기길이 있습니다.
금병산에 둘러싸인 모습이 마치 옴폭한 떡시루 같다 하여 이름붙여진 실레(증리)는 작가 김유정의 고향이며 마을 전체가 작품의 무대입니다. 점순이가 실제로 이 곳에 살았다고 합니다.
▲ 이 곳에서 방문객 위해 현장 사진 찍는 기계가 있습니다. 컴퓨터에서 나온 사진입니다.
우리끼리 다정하게 포즈를 취했고, 자신이 입력한 메일 주소로 사진은 날라 옵니다.
김유정역. 우리나라에 몇 안되는 한옥 역사 중 하나입니다. 사람 이름을 역명으로 쓴 첫 역이랍니다.
강촌역과 남춘천역 사이에 있습니다.